Promise - resolveJS를 사용하면 비동기 통신 작업을 위해 promise 객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. 아래 간단한 promise 코드를 보자. 3초 뒤 숫자 20을 응답해주는 간단한 코드이다. 응답 값이 숫자 20이니까 이 값을 변경시켜보면 어떨까? 안타깝게도 응답 값은 숫자 20이지만 타입 정의를 하지 않아 response의 타입은 unknown으로 추론된다. 따라서, TS에서는 응답 값의 가공을 위해서는 타입 정의를 해줘야 한다. 위 코드처럼 Promise 객체에 number 타입을 지정해줌으로써 응답 값의 가공이 가능해졌다.Promise - reject그럼 이번에는 에러를 담당하는 reject를 살펴보자. reject에 경우에는 unknown 타입이 아닌 any 타입이다. 따라서, 따..